부동산 거래는 취득 보유 양도 등 각 단계에서 다양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오늘은 부동산 취득 보유 양도 시 발생하는 세금의 종류와 계산 방법을 설명하며 세금을 미리 예측하고 절세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세금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부동산 세금의 종류
부동산 거래와 보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1.취득 시 발생하는 세금
취득세: 부동산을 매매 상속 증여 교환 등으로 취득할 때 납부하는 지방세
증여세: 무상으로 부동산을 증여받았을 때 납부하는 국세
상속세: 부동산을 상속받았을 때 납부하는 국세
2.보유 시 발생하는 세금
재산세: 매년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
종합부동산세: 일정 기준 이상의 고가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국세
3.양도 시 발생하는 세금
양도소득세: 부동산을 매도하거나 교환 등으로 양도했을 때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는 국세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일정 비율로 지방자치단체에 납부
4.임대 시 발생하는 세금
종합소득세: 부동산 임대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국세
부동산 취득 세금
부동산을 취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율
1주택자
6억 원 이하: 1.1%
6억 원 초과~9억 원 이하: 1.1~3.5% (계산식: ‘주택 취득 당시 가액 × 2/3억 - 3’ / 100)
9억 원 초과: 3.3%
다주택자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 8.4%, 3주택자 이상 12.4%
비조정지역: 2주택자 1.1~3.3%, 3주택자 8.4%
증여 취득세율
85m² 이하 주택: 3.8%
상속 시: 2.96%
부동산 보유 세금
부동산을 보유하는 동안 다음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1.재산세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7월과 9월에 나누어 납부
세율은 과세표준액에 따라 차등 부과
2.종합부동산세
공시지가 11억 원 이상 1주택자 또는 6억 원 이상 다주택자에게 부과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과세
부동산 양도소득세
부동산 매도 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다음과 같은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기본 세율: 6~45% (과세표준액에 따라 차등 부과)
중과세율
2주택자: 기본세율 + 20%
3주택자 이상: 기본세율 + 30%
보유 기간에 따른 세율
1년 미만 보유 (주택 외): 50%
2년 미만 보유 (주택 외): 40%
1년 미만 보유 (주택 및 분양권): 70%
2년 미만 보유 (주택): 60%
비과세 요건
1세대 1주택자 요건 충족 시 비과세
2년 이상 보유 (조정대상지역은 2년 이상 거주)
실거래가 12억 원 이하의 주택
세금계산기 활용법
부동산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려면 아래 세금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위택스(Wetax)
지방세(취득세, 재산세 등) 계산 가능.
필요한 입력 정보:
취득 원인, 매매계약일, 주택 면적, 과세표준액, 조정대상지역 여부 등.
2.홈택스(Hometax)
국세(양도소득세 등) 계산 가능.
입력 정보:
양도일 보유 기간 취득가액 양도가액 필요 경비 등
3.부동산계산기 앱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하게 취득세 보유세 양도소득세 계산 가능
다양한 세금 항목을 비교해 정확한 예측 가능
부동산 거래 시 세금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세금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해하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양도소득세와 같은 복잡한 세금 문제는 전문가 상담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위택스와 홈택스 부동산계산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정확한 세금 정보를 확인하세요
빌라 아파트 주택 집 샀다 부동산 취득세 재산세 종부세 양도소득세 세금 흐름
가족간 부동산 거래 상속 증여 매매 세금 절차 주의할점 특수관계인 거래 증여세 회피 의심
빌라 아파트 공동명의 변경 장단점 통장 취득세 증여세 변경시 세금등 알아봐요
주거용오피스텔 업무용오피스텔 양도세 취득세 부가세 재산세 주택수 판단
부동산 관련 세금 종류 취득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뜻
0 댓글